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바로가기
  • 충남대학교
  • 정보화본부
  • CNU With U
  • 도서관
  • 발전기금
  • 사이트맵
  • 번역이 완료되었습니다!
 
모바일 메뉴 열기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DEPARTMENT OF PHYSICS

물리학의 원리와 실용성을 동시에 아우르는 교육,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에서 꿈을 이루세요.

학과소식

조창우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조창우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작성자 물리학과
조회수 121 등록일 2025.08.21
이메일



전이금속 NbSe2에서 새로운 형태의 초전도 상태 관측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조창우 교수가 홍콩과학기술대학교(HKUST), 프랑스 국립 고자기장 연구소(CNRS-LNCMI),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연구진과 공동 연구를 통해 초전도체 NbSe2에서 새로운 형태의 orbital FFLO(Fulde-Ferrell-Larkin-Ovchinnikov) 상태를 3차원 벌크 한계에서 최초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물리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IF: 15.7, JCR 상위 7%)에 8월 15일 게재됐으며, 충남대 조창우 교수가 1저자 및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FFLO 상태는 강한 자기장에서 전자쌍의 운동량이 공간적으로 변조된 형태로 결합해 초전도를 유지하는 이국적인 현상이다. 조창우 교수 연구팀은 과거 전이금속 초전도체 NbS2에서 Pauli-limit 근처에서의 FFLO 가능성을 보고한 바 있다. 조창우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과거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공동 연구팀은 고분해능 자화율 및 자기토크 측정을 극저온 및 고자기장 환경에서 수행함으로써 NbSe2 단결정에서 궤도 효과에 의해 형성되는 orbital FFLO 상태를 발견했다. 특히, Pauli-limit에 의해 발생하는 기존 FFLO와 달리, 이번 성과는 전적으로 orbital 효과와 Ising spin-orbit 결합에 기인한 새로운 초전도 상태임을 입증했다.

조창우 교수는 “이번 성과는 전이금속 초전도체 계열에서 Pauli-limit FFLO와는 다른 orbital FFLO라는 새로운 경로를 벌크 초전도체에서 열어 보인 것으로, 향후 위상 초전도 연구와의 연관성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양자컴퓨팅 응용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논문 제목: Evidence for orbital Fulde-Ferrell-Larkin-Ovchinnikov state in the bulk limit of 2H-NbSe2

□ 논문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5-62223-w

https://plus.cnu.ac.kr/_prog/_board/?mode=V&no=2508823&code=sub07_0703&site_dvs_cd=kr&menu_dvs_cd=0703